재한유엔기념공원(UN기념공원)
부산에 살면서, 국민학교시절 현충일 전 견학 장소로 늘 가던 유엔공원이 세계적인 특구이며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라는 사실에 새삼스러웠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에게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관심, 앎에 대해 제대로 안내해 주어야겠다는 생각에 다가오는 6.25를 기념하여 유엔기념공원을 방문하고 왔다.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광복을 이룬 지 몇 해 되지 않아 분단의 아픔을 겪어야 했던 그 시기, 사람들의 삶은 그 어떤 단어로도 표현할 수 없을 것 같다. 경험해보지 않고 감히 당시 상황과 감정을 짐작조차 할 수 없을 테니 말이다.
외할머니가 살아계실 때, 잠 못드는 밤 선풍기를 켜 놓고 도란도란 참 많은 이야기보따리를 꺼내놓으셨는데, 특히 전쟁에 대한 기억이 그녀의 전 생애에 있어 가장 명확하고 선명한 일이었을 것이니 하루일과 중 느슨한 시간이 되면 전쟁 당시 피난 가던 이야기를 들려주셨으니 말이다.
할아버지가 할머니가 너무 예뻐서 다락방에 숨겨놓았다나 뭐라나... 뭐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콧 방위를 뀌며, "할머니, 뻥쟁이야? 군인도 눈이 있지..."라는 말을 참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어쨌거나 이 이야기 또한 할머니의 조작된 본인의 이야기일 것이니 난 팩트만 주워 담아 들었는데, 그 이야기만 듣더라도 전쟁은 참혹했다.
어른이 되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며 전쟁기념관이나 유적지 등을 찾아다니며 역사에 대해 바로 알기위해 노력하면서 간접적으로 만난 그날의 사진만으로도 전쟁이라는 것은 무서운 현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 지금 평안하가?
물 위에 오리가 평안해 보이지만 물 아래 발은 가라앉지 않으려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
지금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과 하마스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시대에 살면서 우리는 평온한 것 같지만 어쩌면 분단으로 인해 매일을 불안한 일상을 보내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한다. 전 세계적으로 지금과 같은 평화가 50년도 채 안되었다는 사실도 놀라울 따름이다. 모두가 평화로운 척 우호적인척해도 이러한 관계는 어느 시점에 터질 수 있는 폭탄과 같다. 다만, 제2차 세계대전에 이어 한국전쟁까지 끊임없이 죽음 두려움을 겪어보았기 때문에 모두가 노력이라는 것을 하고 있겠지....
부산의 명소_재한유엔기념공원
-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이자 성지이다.
- 1959년 11월 <재한 국제연합기념묘지 설치 및 유지에 관한 국제연합과 대한민국 간의 협정 체결> 후 영원히 '유엔기념묘지'로 지정되었다.
-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전몰장병들을 안장하기 위해 유엔군 사령부에 의해 조성되었다.
- 1974년 2월까지 유엔 산하 UNCURK가 철수하고 안장자가 있는 11개국으로 구성된 국제관리위원회에 의해 오늘날까지 관리. 운영되고 있다.
- 총 13개국 2,300여명이 안장되어 있다.
한국정쟁 참전 지원국 : 총 22개국
- 전투지원국 16개국 : 호주, 벨기에, 캐나다,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국, 튀르키예, 영국, 미국
- 의료지원국 6개국 : 덴마크, 독일,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 스웨덴
** 유엔기념공원 관람전 알아두기
- 전체지도
관람전 반드시 리플릿을 챙겨볼 것!
나는 어디에 가든 항상 리플릿을 먼저 본다. 관람하는데 엄청난 도움이 된다.

지금부터 유엔기념관을 소개해 보겠다.
1. 추모관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1964년 8월 21일 유엔이 건립한 건축물이다.
이 건축물에섯 한국의 유명한 건축가 '김중업'이 전몰장병들의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고려하여 설계하였고 기하학적인 삼각형태와 스테인드글라스로 추상성과 영원성을 강조하며 평화의 사도, 승화, 전쟁의 참상, 사랑 등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다큐멘터리도 관람할 수 있는데 상영시간은 12분 정도로 한국전쟁과 유엔군에 대한 이해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참배장소
한국전 참천국 22개국의 국기, 유엔기 그리고 대한민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다.
주묘역은 한국전에 참전한 유엔군 전몰장병이 잠들어 있는 곳으로 호주,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튀르키예, 영국, 미국 7개국의 묘역이 있다. 국가별로 묘역과 기념비, 전사자의 묘가 있다.


이 날은 다음주 6.25를 기념행사를 앞두고 준비가 한창인 듯했다.
예행연습이라고 해야하나?
이날이 6월 19일이었는데, 엄청나게 더웠다. 무더운 여름날, 고생하시는 군인 분들께 감사드리고 싶었다.

캐나다 기념 동상 앞에 있는 동상이다. 참전용사와 한국인 유영문 씨가 동일모형으로 조각하였다고 한다. 소년과 소녀가 들고 있는 단충나뭇잎과 무궁화(21개)는 실종자 21명을 타나내고 있다고 한다.
동상에 의미를 담아내어 이들의 죽음을 위로하며 감사하고 있다.
3. 도은트 수로(Daunt Waterway)
도은트 수로의 명칭은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전사자 중 최연소자(17세)인 호주병사(J. P. DAUNT)의 성을 따서 지었다.


지난해보다 올해, 황금색 물고기들이 정말 많았다.
아이들이 얼마나 좋아했던지...

그는 1951년 11월 6일 17세의 꽃다운 나이에 전사했다.
도은트 수로의 황금물고기들이 살고 있는 이유를 찾아보니, 도은트 병사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이역만리에 잠든 전사자들의 영혼이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으며, 앞으로도 도은트 병사를 생각하는 마음처럼 뜨겁고, 수로에 물고기를 놓아주는 손길처럼 사랑이 가득한 마음으로 봉사활동을 하자는 각오를 다지는 뜻도 있다고 한다.
4.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까지 진행된 한국전쟁 중 전사한 유엔군 40, 896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추모명비 입구에는 이해인 수녀님의 헌시가 새겨져 있다. 시를 읽어 내려가며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아이들은 추모명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손끝으로 이름들을 만져보기도 하였다.


5. 유엔군 위령탑
1978년 한국정부가 건립한 조형물로 정면에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조각되어 있으며 벽면에는 각 나라별 전투지원 내역과 전사자 숫자가 동판에 새져겨 있다. 추모명비에서 길을 따라 내려오면 바로 보인다.


6. 제2기념관
유엔군 위령탑 내부에 위치한 제2기념관에는 유가족이 제공한 안장자 사진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안장자와 관련된 여러 가지 기념품과 그림 등도 전시되어 있다. 퀼트로 만든 지도, 전쟁 참가 전 사진 등의 모습들이 담겨 있다. 이곳은 코로나 때는 굳게 닫혀 있어 관람을 할 수 없었는데, 개방되어 너무 좋다.
마치 비밀의 문이 열린 듯하다.





사진 속 얼굴을 보며 부모들, 연인들이 어떤 마음으로 머나먼 나라까지 사랑하는 이를 보내고 기다렸을지... 수많은 날들을 애태우며 울었을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대한민국 국민이기에 이들을 더욱 기리고 잊어서는 안 될 것 같다.
7. 무명용사의 길
위령탑 아래에 위치한 수로이다.
무명용사의 길 양쪽에는 각각 11개의 물 계단, 11개의 분수, 그리고 11그루의 소나무가 있다, 이는 공원에 전몰병장이 안장된 11개국을 표현한다고 한다.

8. 한-태 우정의 다리
무명용사의 길을 건너 숲 길을 따라가면 호수가 나온다. 호수 정중앙으로 작은 섬이 하나 있는데 그 섬을 이어주는 다리가 있다. 1976년 건립된 것으로 한국과 태국의 우정의 다리라고 한다.

이곳을 끝으로 길을 따라 걸으면 다시 위령탑 - 추모명비 - 도은트 수로를 지나 기념관으로 갈 수 있다.
9. 기념관
1966년 유엔이 건립한 건물로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이 사령부가 최초로 사용한 유엔기를 비롯해 유엔군 사진자료 및 기념물과 함께 알파벳순으로 각 참전국별 유엔군의 활약상이 담긴 사진, 기념유품, 방문기념패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1959년 유엔과 대한민국사이에 체결된 <재한 국제연합묘지 설치 및 유지에 관한 국제연합과 대한민국 간의 협정> 원본이 보존되어 있다. 이 문서는 유엔기념공원 설립의 근거가 되는 아주 중요한 문서라고 한다.



매 해 유엔기념공원을 방문하는데 올해는 특별하게 행사 준비하는 것도 보게 되고, 군인들도 견학을 온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비록 날씨는 무더웠지만 군인들에게도 그날의 일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곳을 둘러보는 시간을 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해마다 외국인들이 이곳을 찾는다.
이 곳이 더 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의 추모하는 발길로 기억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재한유엔기념공원 위치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70a80bd0-67b1-4537-ba17-b18e091fc12a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여행지 | '열린 관광' 모두의 여행:대한민국 구석구석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korean.visitkorea.or.kr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여행] New Orleans & Jazz✈️ (0) | 2024.06.18 |
---|---|
[김해] 빛의 도시 가야 방문기 (0) | 2024.05.29 |
[미국여행] 디즈니월드_Hollywood Studios (0) | 2024.01.14 |
[미국여행] 플로리다편_Orlando Walt Disney World 뽕뽑기! (0) | 2024.01.10 |
[여행 경주]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_천년고도의 역사 도시 경주 (0) | 2023.11.04 |
댓글